간디는 ‘영혼의 리더십’이라는 저서에서 “우리 내부의 갈등(종교, 카스트제도)이 외부의 환경(영국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투쟁보다 더 오래가고 더 철저하며 심지어 더 고통스럽다”고 쓰고 있습니다. 사회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의 실체를 볼 수 있게 도와주는 렌즈(사회학적 상상력)의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사회학적 상상력이란 무엇일까요? 이러한 점에서 오늘날의 한국사회는 사회학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난 세대의 한국사회가 먹고 사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싸우던 경제의 시대, 국가와 권력의 문제를 고민하던 정치의 시대를 지나쳐 왔다면, 현재의 한국사회는 경제와 정치, 아울러 다양한 공동체와 개인들의 문화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 의미의 사회에 대한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사회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현대 사회의 요구에 어울리는 통합적 사고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것이고 더 나아가 다양한 사회 현상에 대한 분석적인 통찰력, 전문적인 지식, 실질적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우게 된다는 뜻입니다. |
'사회학'에 대하여/of Sociology
[한양대 사회학과]사회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고3starr
2018. 8. 23.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