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son and the End of Poverty
Oct 7, 2013 | Kaushik Basu
Do the benefits of economic growth trickle down on their own, benefiting all, or do we need targeted redistributive policies to reduce extreme and chronic poverty? Many people remain in the growth-only camp only because of an error in deductive reasoning.
WASHINGTON, DC – The World Bank has set two new goals for itself: ending extreme and chronic poverty in the world by 2030, and promoting shared prosperity, defined in terms of progress of the poorest 40% of the population in each society. Now that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Open Working Group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as endorsed the Bank’s anti-poverty target, debate about how to achieve it has revived an old question: Will the benefits of economic growth trickle down on their own, reaching all, or will we need targeted redistributive policies?
Many people remain in the growth-only camp only because of an error in deductive reasoning; unlike committed ideologues, they can be weaned from their position. That is why the World Bank’s second goal of promoting shared prosperity is important not only in itself, but as an essential complement to the goal of ending poverty.
Recognizing that some “frictional” poverty will inevitably persist over the next two decades, the World Bank’s formal target is to reduce the percentage of people living below the poverty line – defined as daily consumption of less than $1.25 (in purchasing-power-parity terms) per person – to less than 3%.
출처-https://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kaushik-basuthe-logical-flaw-that-keeps-people-poor?barrier=accessreg
2013년 10월 7일|까우식 바수
경제 성장의 이득은 그 자체로 감소하고,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가? 아니면 우리가 극심하고 만성적인 빈곤을 줄이기 위해서 목표로 하는 재분배 정책이 필요한가? 연역적 추리의 오류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성장만 추구하는 진영에 남아 있다.
워싱턴 DC, 세계 은행은 2030년까지 세계의 극심하고 만성적인 빈곤을 종식시키고, 각각의 사회에서 가장 가난한 40%의 인구가 발전한다는 측면에서 정의되는 공동 번영을 촉진한다. 이제 유엔 총회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에 대한 워킹 그룹이 은행의 반 빈곤 목표를 지지했으므로, 어떻게 그것을 달성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은 우리가 경제 성장의 이익을 모두 스스로 줄일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연역적 추리의 오류 때문에 성장기에만 머물러 있다. 그들은 헌신적인 이념과는 달리 그들의 입장에서 물러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 은행의 두번째 공동 번영이라는 목표는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빈곤 퇴치라는 목표에 필수적인 보완 요소로 중요하다.
세계 은행의 공식 목표는 향후 20년 동안 불가피하게 일부"마찰"빈곤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하루 소비량이 1달러 25센트 미만인 것으로 정의되는, 빈곤층의 비율을 줄이는 것이다.
요약- 세계은행은 2030년까지 사회에서 가장 가난한 40%의 인구를 발전시킬것이라는 반 빈곤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 재분재정책보다는 연역적 추리에 의한 성장을 통한 경제성장을 지지했다. 하지만 향후 20년동안의 불피한 일부의 마찰 빈곤이 지속되는 것은 감수한다고 말한다.
''사회'에 대하여 > international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ump Cancels, China Wins (트럼프 취소, 중국 우승) (0) | 2018.05.29 |
---|---|
[한국경제TV]'판문점 선언', 외신 반응도 '폭발'…"거대한 도약" (0) | 2018.05.05 |
What to Expect From the Trump-Kim Summit (트럼프와 김정은 회담에서 기대할수 있는 것) (0) | 2018.05.05 |
How Democracies Are Born (민주주의의 기원) (0) | 2018.03.11 |
Rethinking Poverty Reduction (가난 감소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기) (0) |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