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을 읽고 -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지침서 처음 청어람 동아리를 통해 이 책을 접하게 되었을 때는 마치 교과서같이 딱딱하게 느껴져 나에게 주어진 숙제같은 느낌이 들었다. 하지만 막상 이 책을 읽고 나니, 단순히 지식을 나열해놓은 교과서라기보다는 ‘교양인’으로써 우리가 알아야만 하는 최소한의 지식을 재미있는 이야기 ..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10.22
<모멸감>을 읽고 - 감정사회학으로 고찰하는 한국인의 '낮은 자존감' 사실 이 책은 작년에 사제동행 청어람 독서토론동아리에서 담당선생님께서 동아리부원들에게 사주신 책이었다. 하지만 왠지 학술적인 듯 해 보이는 표지, 즉 뭔가 재미있지는 않을 것 같은 느낌, 미루기 좋아하는 내 머릿속 때문에 거의 1년 이상을 기숙사에 방치해놓았었다. 하지만, 불..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9.28
<82년생 김지영>을 읽고 – 우리는 ‘알아야 한다’ <82년생 김지영>을 읽고 – 우리는 ‘알아야 한다’ 저자가 이화여대 사회학과라는 것을 알고 반가운 마음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사람들의 의식수준이 상당부분 성장한 현대사회에서 여성의 권리를 되찾자는 취지의 다양한 운동들이 사회 곳곳에 확산되고 있다. 그중 논란이 된 책..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8.24
<그러니까, 이게 사회라고요?>를 읽고- 사회는 끝없이 냉혹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러니까, 이게 사회라고요?>를 읽고 생각보다 더 냉혹하고 비합리적인것이 사회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1. 저자의 의도 청소년들에게 교과서적인 말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미화되지 않은 지식, 어른과 부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사회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8.19
<더 나은 세상>을 읽고-피터싱어와 나, 사회, 세계, 지구에 대한 대화를 나누다 <더 나은 세상>을 읽고-Ethics in the real world 1. 어떻게 이 책을 읽게 되었나? 윤리와 사상에서 벤담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을 계승한 싱어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다. 사실 그때는는 인간 뿐 만 아니라 쾌락과 고통을 느끼는 모든 존재의 이익을 고려해야한다는 피터싱어의 입장..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8.19
<미움받을 용기>를 읽고- 행복은 공헌감이다 <미움받을 용기>를 읽고- 아들러의 심리학, 이 책은 내 주변 사람들, 나와 가장 친한 친구로 인해 처음 접하게 되었고, 이후에는 내가 어른으로써 가장 존경하는 3학년 담임 선생님께서 본인이 크게 감명받은 책이라고 언급하셨을뿐더러 내 옆자리 친구까지 내 주변 모두가 이 책을 읽..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5.29
<416세월호 민변의 기록>을 읽고-사고가 아니라, 구조적 문제의 집합이었다. <416세월호 민변의 기록>을 읽고 – 사고가 아니라, 구조적 문제의 집합이였다. 사실 내가 세월호에 대해 아는 사실은 그닥 많지 않았다. 그저 그 일이 발생할 때 나는 중2였고,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죽어간다는 것을 실감하지는 못했지만 온 나라가 말 그대로 충격과 공포 상황이었..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3.25
<결정장애 세대>를 읽고- 1980년대 이후 출생한 우리세대는 '메이비 세대' <결정장애 세대>를 읽고 이 책의 작가는 오스트리아출신 기자로, 유럽에 살고있는 한 사람의 입장에서 우리 사회에 대해 판단하고 1980년대 이후에 태어난 ‘우리세대’를 ‘메이비 세대’라고 말한다. 이 책에 따르면 항상 효율을 추구하는 탓에 사람들은 모두 엄청나게 많은 양의 선..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3.15
<아픔이 길이 되려면>을 읽고 – 사회역학자의 눈에서 바라본 질병의 원인의 원인 <아픔이 길이 되려면>을 읽고 – 사회역학자의 눈에서 바라본 질병의 원인의 원인 파란색의 표지가 끌려서, 또 내 관심분야인 사회학 관련 도서라는 것을 알게 된 후 고민없이 이 책을 도서관에서 대출했고 이 책을 읽게된 나는 4시간동안 한자리에 앉아 이 책을 단숨에 완독했다. ..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3.01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 – 덴마크 행복사회의 비밀을 밝히다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 – 덴마크 행복사회의 비밀을 밝히다 유엔 행복지수 조사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한 덴마크 사회의 비결은 무엇일까? 그 비밀을 찾아내기 위해 오마이뉴스의 오연호 기자가 덴마크에 직접 방문하여 덴마크사람들을 직접 만나보았다. 택시기사부터 시.. '나'에 대하여/bookstory 2018.02.28